전체 글 431

20210214_가온미디어(078890)

가온미디어(KAON Media)는 코스닥 상장회사다. 시총 약 2천억원으로 코스닥 475위다. 상장주식수는 약 15백만주이다. 21년 1월 12일 종가 6,890 원이었는데 한달 뒤인 2월 10일 종가 13,200 원이다. 참고로 유증권시장에는 800 개의 기업이 상장되어 있고, 코스닥시장에는 1,468 개가 있다. 2020년은 아직 안 나왔으니 2019년 말 기준 사업보고서를 보자. 감사보고서를 보면 적정의견을 표명하고 있으며 특수관계자와의 매출 및 지급수수료를 핵심감사사항으로 식별했다. 특수관계자와의 매출은 1천억, 지습수수료는 69억이다. 회사 전체 매출및 지급수수료의 17%와 16%를 차지한다. 가온미디어는 2001년에 설립되었다. AI 셋톱박스, Broadband CPE, IP-hybrid, 스..

기업 2021.02.15

현금흐름표 기초

기업의 경영활동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영업활동과 투자활동 그리고 재무활동이다. 경영활동별로 현금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이 현금흐름표이다. 현금흐름표는 영업활동현금흐름, 투자활동현금흐름, 재무활동현금흐름으로 구분된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그리고 현금흐름표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손익계산서의 비용과 이익항목이 영업활동의 결과다. 재무상태표의 유동자산은 대부분 영업활동이며 비유동자산은 거의 투자활동이다. 유동부채도 대부분 영업활동이며 자본은 거의 대부분 재무활동이다. 영업활동현금흐름(OCF) 기업이 영업을 하기 위해 생기는 활동의 결과가 영업활동현금흐름이다. 생산, 판매, 구매활동 등으로 인해 생기는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매출, 매출원가, 급여, 판관비 등과 연관된다. 특이한 것은 이자..

공부 2021.02.14

연결회계 기본원리

기업은 성장을 한다. 내부적으로 성장을 할 수도 있지만 다른 기업과의 결합을 통해 빠르게 성장할 수도 있다. 이를 M&A 라고 부른다. M 은 합병(merge)을 나타내고, A 는 인수(acquisition)를 말한다. 합병 합병은 두 기업이 결합 후에 하나의 실체가 된다. 합칠 때만 회계처리(합병회계)를 하면 된다. 인수 인수는 두 기업이 결합 후에도 각각의 실체를 유지한다. 지분법 지배기업이 종속기업 지분의 20% 이상을 갖고 있거나 중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다면 지분법을 적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단순히 20% 미만의 지분을 갖고 있다면 금융자산으로 회계처리하면 되는 것과 비교된다. 지분법을 적용하면 지배기업은 종속기업의 순자산 변동액 중 지분율 만큼 지분법손익으로 인식한다. 지배기업은 종속기업투..

공부 2021.02.13

재무제표와 환율

수출입을 하거나 외화거래를 하는 기업의 재무제표에는 환율의 변동으로 인한 영향이 생긴다. 어느 시점의 환율로 기록하느냐에 따라 숫자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기능통화 vs 표시통화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의 통화를 기능통화라고 한다. 기능통화가 아니라면 외화가 된다. 재무제표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통화는 표시통화라고 한다. 화폐성 항목 vs 비화폐성 항목 화폐성이란 확정되었거나 결정가능한 화폐단위로 받을 권리나 지급할 의무를 뜻한다. 간단히 말해 미래에 주고받을 금액을 정할 수 있으면 화폐성이다. 예를 들어 채권은 금액이 정해져 있으므로 화폐성이고 주식은 가격을 정할 수 없으므로 비화폐성이다. 화폐성 항목은 현행 가격이 있기 때문에 결산일에 현행환율(마감환율, 결산일환율)로 환산한다. 미실현된..

공부 2021.02.12

리스 기초개념과 주요 용어

리스 기초개념 리스란 리스제공자(lessor)가 자산의 사용권을 리스이용자(lessee)에게 이전하고, 리스이용자는 사용료를 리스제공자에게 지급하는 계약을 말한다. 자산의 소유권은 항상 리스제공자가 갖고 있게 된다. 리즈제공자는 리스자산공급자(maker)로 부터 자산을 구입하고, 리스자산공급자를 통해 리스이용자에게 실물을 인도할 수 있다. 법률적으로 보자면 리스는 임대차 거래이다. 하지만 경제적 실질로 보자면 할부금융의 성격을 띤다. 리스의 경제적 실질을 반영하기 위해 리스회계가 필요하다. 리스는 운용리스와 금융리스로 구분된다. 구분기준은 "리스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이 누구에게 귀속되는가?" 이다. 대부분의 위험과 보상이 리스이용자에게 귀속된다면 금융리스로 본다. 그러나 대부분의 위험과..

공부 2021.02.11

20210131_아세아제지(002310)

아세아제지(주)는 1958년 산업용지 제조업을 시작으로 1988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아세아(주)가 아세아시멘트(주)와 아세아제지(주)를 지배하는 지주회사다. 아세아시멘트(주)는 한라시멘트(주), 아세아산업개발(주), 우신벤처투자(주), ASIA ADVANCED MATERIALS SDN.BHD, 농업회사법인 아농(주) 등을 연결종속회사로 두고 있다. 아세아제지(주)는 경산제지(주), 제일산업(주), (주)에이팩, 유진판지(주), 에이피리싸이클링(주) 등을 연결종속회사로 두고 있다. 2019년도 말 기준으로 최대주주인 이병무 회장 및 특수관계인이 아세아(주) 지분의 43.07%를 보유하고 있다. 아세아(주)는 아세아시멘트(주) 주식의 53.94%, 아세아제지(주) 주식의 47.19%를 소유하고 있다...

기업 2021.01.31

기업의 원리금 상환능력

기업의 원리금 상환능력을 분석하는 재무지표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기본적으로는 일년 동안 벌어들인 현금과 일년 동안 갚아야 할 이자와 원금을 비교하게 된다. 일년 동안 벌어들인 현금으로 많이 쓰이는 것은 EBITDA 이다. 산출하는 과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영업현금흐름이나 잉여현금흐름의 대용치로 많이 사용된다. 일년 동안 갚아야 할 이자와 원금으로는 금융비용과 차입금을 주로 이용한다. 우선 EBITDA 에 대해 잠시 알아보자. EBITDA 는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의 약자로 이자, 세금,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무형자산 상각비를 빼기 전의 이익을 말한다. 즉 영업활동에서 창출한 현금흐름의 크기를 나타낸다. EBITDA 에서..

공부 2021.01.25

20210123_효성첨단소재(298050)

2018년 6월에 효성그룹은 지주회사 (주)효성과 효성티앤씨(주), 효성중공업(주), 효성첨단소재(주), 효성화학(주) 등 4개 사업회사로 인적분할했다. 효성첨단소재의 사업은 크게 산업자재와 기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2019년 기준 매출비중은 산업자재 약 84%, 기타 약 16% 이다. 산업자재 부문에서는 타이어 보강재, 자동차 안전벨트용 원사, 에어백용 원사 및 직물, 자동차 카페트 원사 등을 생산하고 있다. 이외에도 신소재인 아라미드와 탄소 섬유도 제품 개발 및 사업화를 하고 있다. 기타 부문에서는 섬유소재인 스판덱스와 폴리에스터 원사 등을 생산하고 있다. 2020.01.22 기준으로 발행주식 총수는 보통주 4,479,948 이며 자기주식 11,926 으로 유통주식수 4,468,022 이다. 주당..

기업 2021.01.23

감사보고서와 사업보고서

회사를 분석할 때 사업보고서를 본다고 한다.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접속하면 외부 감사를 받은 회사의 보고서를 볼 수 있다. 십만전자를 꿈꾸는 삼성전자를 DART 에서 검색해보자. 정기공시를 검색하면 감사보고서는 없고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만 나온다. 각각의 첨부를 보면 아래와 같다. 삼성전자는 분기마다 보고서를 만드는데 3월에는 분기보고서, 6월에는 반기보고서, 9월에는 분기보고서, 12월에는 사업보고서를 만든다. 사업보고서에는 감사보고서가 첨부되고, 분기 및 반기 보고서에는 검토보고서가 첨부된다. 감사보고서에는 감사의견이 들어있지만 검토보고서에는 감사의견이 들어있지 않다. 감사(audit)와 검토(review)는 다른다. 감사는 전체 회계기간의 자료를 바탕으로 감사인의 의견을 나타낸..

공부 2021.01.17

감사의견과 감사보고서

재무제표를 만드는 사람과 감사하는 사람 그리고 감사보고서를 읽는 사람들 간에 공통의 언어가 필요하다. 같은 표현방식을 사용하고, 같은 해석을 내놓을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회계기준이다. 회계기준은 커다란 원칙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이를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GAAP :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의 회계기준은 기업의 상황에 따라 세 가지 중 하나를 사용하게 된다.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과 일반기업회계기준 그리고 중소기업회계기준이다. 간략하게 구분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은 말 그대로 한국(K)에서 채택한 국제회계기준(IFRS)을 일컫는다. 원칙 중심이며 연..

공부 2021.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