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11

ADsP 113 데이터베이스 활용

1. DB 구축의 화두 1) 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를 말하며 네트워크 상의 여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DB 의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조회하는 등의 처리방식을 말한다. 다수의 이용자가 거의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결과를 즉석에서 되돌려 보내주기 때문에, 신용카드 조회나 자동화기기 현금 지급 등 금융관련 전산에 많이 쓰인다. 트랜잭션 단위로 하나씩 처리한다. 일괄처리 시스템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참고로 일괄처리 batch 시스템이란 일괄로 처리할 수 있는 요청에 대해 유사한 자료를 모아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하나의 작업이 끝나기 전까지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 급여계산, 성적처리 등에 이용된다. 2) OLAP online a..

ADsP 2021.03.07

ADsP 112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1. 데이터베이스 database 의 정의 데이터베이스란 단어 그대로 데이터 data 의 집합 base 을 의미한다.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담아야 하고, 체계적으로 저장해야 하며 다수의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은 다르다. DBMS 는 DB 를 구축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DB 와 DBMS 를 합쳐서 DB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2.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특정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집합을 데이터베이스라고 볼 수 있다. 이 정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ㄱ. 자료가 중복되어 있지 않다.(통합 integrated) ㄴ. 저장 ..

ADsP 2021.03.06

ADsP 111 데이터와 정보

1. 데이터의 정의 데이터란 무엇인지 부터 생각해보자. 공식수험서에는 옥스퍼드 대사전의 정의를 빌려 데이터를 '추론과 추정의 근거를 이루는 사실'이라고 말한다. 이론을 세우는데 근거가 되는 사실 즉, 자료를 뜻한다. 여기서 두 가지의 특성을 뽑아낼 수 있다. '객관적 사실 raw material (존재적 특성)'과 '근거 basis (당위적 특성)'다. 데이터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는 자료를 데이터라고 부르며 데이터는 객관적 사실을 기반으로 분석의 결과를 뒷받침 해주는 근거인 셈이다. 존재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고 다른 것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가치를 갖는다. 데이터, 정보, 지식 등의 단어는 얼핏 비슷해 보인다. 이를 구분하기 좋게 만들어 놓은 피라미드가 있다. DIKW 피라미드인데 누가 ..

ADsP 2021.03.06

ADsP 시험 내용 및 접수 그리고 수험서

ADsP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 는 데이터분석 준 전문가의 약자다.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을 기획하고 통계 분석을 하는 사람이다. 다음 레벨이 데이터분석 전문가 ADP 이다. ADsP 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국가공인 자격증이다. 총 3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필기 시험만 본다. 반면 ADP 는 실기와 필기 시험을 본다. 1 과목 : 데이터 이해 2 과목 : 데이터 분석 기획 3 과목 : 데이터 분석 1 과목은 데이터에 대한 이해, 데이터 베이스, 빅데이터 등에 대한 정의와 특징 및 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룬다. 2 과목은 데이터 분석 방법론과 프로젝트 관리 방안, 플랜 수립 등에 대해 다룬다. 3 과목은 R 언어와 ..

ADsP 2021.03.05

현금흐름표 읽기

우선 숫자를 읽기 좋게 단위를 스스로 변경한다. 현금흐름표의 단위가 억원인데 조단위까지 숫자가 읽힌다면 단위를 조로 변경해서 읽고 간단하게 표시해보자. 남은 돈 > 번 돈 손익계산서는 매출에서 비용을 빼고 남은 이익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익은 벌어들인 돈을 뜻하기는 하지만 실제 기업에 남아있는 돈을 뜻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현금흐름표에 있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남은 돈을 뜻한다. 기업의 본질적인 활동을 통해 만들어내고, 남은 돈을 나타내는 것이다. 현금흐름표의 가장 첫 두 줄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OCF)과 당기순이익을 표시한다. OCF 는 남은 돈을 뜻하고 당기순이익은 번 돈을 뜻한다. OCF 는 당기순이익보다 커야 한다. 2년 연속으로 OCF 가 당기순이익보다 적다면 생각해볼 문제다...

공부 2021.02.21

주식가치평가방법

주식의 가치를 경제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는 절대가치 평가법인 DCF, 상대가치 평가법인 EBITDA Multiple, PER 등이 있다. 자통법과 상증법 등과 같은 법률에 의한 방법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DCF (Discount Cash Flow) 미래에 발생 가능한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구하는 방법이다. 기업 자체만을 평가하므로 외부의 변동성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현금흐름추정과 할인율을 결정할 때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되므로 결과값에 대한 편차가 크다. EBITDA Multiple 유사기업 또는 시장평균과 비교하여 기업의 상대적 가치를 구하는 방법이다. 비교 대상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완전히 동일한 비교대상을 찾을 수 없으므로 여러 개의 비교 기업을 찾아서 평균을 구한 뒤 비교하게 된다..

공부 2021.02.20

여신 심사 목적, 재무제표 빨리보기

우선 숫자의 단위를 본다. 단위를 최대한 높여서 긴 숫자를 간략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2,356억이라면 0.2조로 바꾸자. 총자산으로 규모를 보고, 매출액으로 외형을 판단한다. 총자산회전율을 얼른 계산해본다. 돈을 버는 회사인지 봐야 한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이 당기순이익보다 무조건 커야 한다. 장부상 이익보다 실제 만들어 낼 수 있는 현금창출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물가는 매년 오른다. 직원의 월급도 원자재도 매년 오를 수 밖에 없다. 결국 매년 매출이 증가해야 한다. 적어도 물가상승률만큼은 늘어나야 한다. 최근 3개년 매출액의 추세를 보자.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하더라도 번 돈이 없으면 소용없다. 영업이익을 체크하자. 장부상 번 돈이 있더라도 실제 남은 돈이 있어야 한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보자. 본..

공부 2021.02.19

EBITDA

우리는 '에비따'라고 읽는다. 외국인은 '이비따'로 발음한다. 발음은 그렇다 치고... 현금영업이익 EBITDA 는 Earning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의 약자다. 이자, 세금, 무형자산 상각, 유형자산 감가상각 이전의 이익을 의미한다. 무슨 말일까? 쉽게 말하자면 현금영업이익이다. 잠시 손익계산서를 보자. 손익계산서는 매출액에서 시작한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면 매출총이익이 나온다. 매출총이익에서 판관비를 빼면 영업이익이 나온다. 영업이익에서 영업외 수익/비용을 빼면 법인세차감전순이익이 나온다. 법인세차감전순이익에서 법인세를 빼면 당기순이익이 나온다. 이제 당기순이익에서 거꾸로 올라가보자. 영업외 수익/비용에 이자수익/비용이..

공부 2021.02.18

현금수지분석표

현금수지분석표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및 제조원가명세서 등을 기반으로 만들 수 있다. 현금흐름표를 작성하지 않는 비외감 기업의 현금흐름을 분석하는 데 있어 유용하다. 물론 현금흐름표가 있더라도 여신심사를 목적으로 현금수지분석표를 작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금수지분석표는 재무상태표만으로 만들 수도 있다. 물론 정확도가 낮아지는 것은 감수해야 한다. 현금수지분석표는 현금흐름표의 직접법과 작성방법이 매우 유사하다. 현금수지분석표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1. 매출을 통한 현금유입액 2. 현금지출 매출원가 3. 현금매출총이익 (1+2) 4. 현금지출 판관비 5. 현금영업이익 (3+4) 6. 기타영업활동 현금흐름 7. 영업활동 후 현금흐름 (5+6) 8. 이자비용 및 배당금 지급액 9. 이자비용 지..

공부 2021.02.17

운전자본

운전자본(working capital)이란 기업의 영업활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운영자금을 말한다. 즉 구매, 생산, 판매 활동 과정에서 소요되는 금액을 말한다. 운전자본은 업종에 따라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매출이 증가하면 매출채권, 재고자산, 매입채무 모두 증가한다.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매입채무보다 크다면 유동자산이 유동부채보다 크게 되고 유동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운전자본은 유동자산을 뜻하기도 한다. 이 경우 순운전자본(net working capital)은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뺀 값을 의미한다. 순운전자본을 좁게 해석하면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합에서 매입채무를 뺀 값을 의미한다. 회전율 운용의 효율성을 해당 항목의 회전속도에 의해 측정이 가능하다. 총자산회전율을 ..

공부 2021.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