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38

신용대출 한도

신용대출이 얼마까지 나올까? 신용대출 한도는 어떻게 계산하는 걸까? 정확한 금액은 대출 신청을 해봐야 알 수 있을 거다. 하지만 신용대출의 큰 흐름은 볼 수 있다. 우선 개인의 신용대출 한도를 감잡아 보자. 1. 나의 연 소득을 확인한다. 2. 내 신용등급이나 거래실적 등에 따라 연 소득의 80~150% 로 신용대출의 최대한도를 결정한다. 3. 최대한도에서 내가 이미 사용 중인 신용대출을 뺀다. 4. 이제 남는 금액이 내가 받을 수 있는 신용대출 금액이다. 예를 들어 보자. 나는 직장인이다. 내 연봉은 3천만 원이다. 신용등급이 양호하여 3천의 120%까지 최대한도가 산출된다. 나의 신용대출 최대한도는 3천6백만 원이다. 난 이미 5백만 원의 신용대출을 쓰고 있다. 그러면 이번에 내가 받을 수 있는 최대..

재테크 2021.05.31

건별대출과 한도대출

대출은 담보의 유무에 따라 신용대출과 담보대출로 나눌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대출의 세계에서는 새로운 단어가 또 등장한다. 위의 그림은 우리은행 신용대출의 설명 일부이다. 신용대출 한도를 설명하면서 한도대출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대출은 대출금을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건별대출과 한도대출로 나눈다. 우리는 '사건을 한 건 해결했다'와 같은 문장을 쓴다. 여기서 사용하는 한 건, 두 건을 떠올리면 건별대출이라는 단어가 친숙해 보일지 모르겠다. 건별대출은 쉽게 말해, 내가 신청한 대출금을 은행에서 내 통장에 입금해주는 대출을 말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대출의 형태다. 대출받은 만큼 내 통장에 돈이 입금되고, 나는 매월 이자를 낸다. 돈이 생겨서 대출금을 일부 갚으면 대출금은 줄어들고, 줄어든 대출금..

재테크 2021.05.30

시설자금대출과 운전자금대출

기업대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시설자금 대출과 운전자금 대출이다. 이는 기업이 대출을 받아서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지에 따라 구분한다. 은행에서 대출상담을 할 때 돈을 어디에 쓸 건지 얘기하면 은행 직원이 알아서 구분해 줄 수도 있다. 하지만 기업은 정부의 각종 정책자금 대출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인 내용이니 알고 있으면 여러 가지 대출을 활용하는데 도움이 된다. 우선 시설자금과 운전자금의 뜻을 살펴보자. 정부의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운영하는 기업마당(Bizinfo) 홈페이지로 가보자. 첫 페이지 아래쪽에 지원책자 메뉴를 보자. 2021년 중소.벤처기업 지원사업이라는 책이 보인다. 책을 다운로드하여 Ctrl+F를 눌러 '시설자금'이라고 검색하면 15페이지에 용어설명에 시설자금과 운전자금..

재테크 2021.05.29

사업보고서 읽기! 영업권

[사업보고서 읽기! 종속기업투자자산] 글에서 연결재무제표에는 종속기업투자자산 항목이 사라진다고 했다. 기억을 되살려보자. 주식회사 갑이 주식회사 을의 지분을 100% 인수했다. 갑은 을에게 인수 대가로 현금을 줄 수도 있고 주식을 발행해서 줄 수도 있다. 어쨌든 갑은 종속기업투자자산이라는 항목에 인수 대가만큼의 금액을 기록한다. 갑은 을에 대해 실질적 지배력을 갖게 되었으므로 결산시점에 갑의 개별재무제표 이외에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한다. 연결재무제표는 두 회사의 재무제표를 합쳐서 만든다. 이때 갑이 을에게 투자한 자금은 이미 을의 자산 어딘가에 녹아들어 가 있다. 따라서 갑과 을의 자산을 합칠 때 갑의 종속기업투자자산은 제거해야 한다. 이때 을의 자본도 지워진다. 재무상태표는 항상 좌우가 똑같다는 점..

공부 2021.05.29

담보대출

이전 글 '신용대출'에서 대출은 신용대출과 담보대출로 나눌 수 있다고 했다. 이번에는 담보대출에 대해 알아보자. 담보대출이란 말 그대로 대출을 받기 위해 담보를 제공하는 대출이다. 대출을 갚지 못하면 은행은 담보에 영향력을 행사해서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다. 그렇기에 일반적으로 신용대출보다는 금리가 낮고 한도가 많이 나오게 된다. 담보라고 해서 아무거나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해당 은행에서 정식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담보여야 한다.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담보에는 부동산과 보증서가 있다. 부동산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주택, 상가, 전, 답, 나대지, 공장, 오피스텔 등등... 부동산을 감정해서 감정가를 구하고, 담보인정비율을 곱하고, 선순위나 소액보증금을 차감하여 대출한도를 계산한다. 대출한도 내..

재테크 2021.05.28

신용대출

대출을 신청하게 되면 가장 궁금한 건 두 가지다. 얼마까지 나와요? 줄여서 대출한도라 한다. 이자는 얼마나 싸게 할 수 있어요? 다른 말로 대출금리라 한다. 너무 단순한 이야기인가? 하지만 여기까지만 알고 은행에 가서 대출상담을 하게 되면 쏟아지는 질문이 많아질 거다. 어느 정도는 알고 가야 대화도 되고 정확한 소통이 되어 나중에 엉뚱한 기억만 남게 되는 일이 없다. 대출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신용대출과 담보대출이다. 신용대출은 은행에 제공하는 담보가 없는 대출이다. 신용등급 및 소득에 따라 대출한도와 금리가 결정된다. 따라서 비슷한 상황처럼 보여도 신청 주체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대출금리는 어떻게 결정될까? 대출을 신청하면 은행은 자신만의 신용등급을 산출한다. 외부 신용등급와 내부 거..

재테크 2021.05.27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대출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대략 어떻게 구분하는지, 큰 특징은 뭔지 알아두면 대출이 필요할 때 도움이 된다. 오늘은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에 대해 알아보자. 경제활동의 주체는 크게 세 개가 있다. 학교에서 배웠던 거 같다. 가계, 기업, 정부 이렇게 세 개다. 이 글을 읽는 사람이 정부일리는 없으니 가계와 기업만 보자. 기업이 생산을 하면 가계는 소비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대출도 가계대출과 기업대출로 나눌 수 있다. 가계대출은 소비의 주체인 개인을 생각하면 쉽다. 대출을 받아 생활비로 쓰거나, 집을 사거나, 자동차를 사거나... 개인의 생활을 위한 소비 목적의 대출이다. 요즘은 은행에 가서 대출상담을 받아도 어디에 쓸건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캐묻지 않는다. 게다가 인터넷으로 대출을 신청하면 아무 얘기도..

재테크 2021.05.26

사업보고서 읽기! 지분법 자본변동

[사업보고서 읽기! 지분법]에서 지분법이익에 대해 살펴봤다. LG화학의 연결재무제표를 보자. 관계기업에 대한 주석을 보면 관계기업별로 지분법이익이 표시되어 있다. 지분법이익은 총 9,343백만 원이다. 관계기업의 당기순이익으로 인해 LG화학의 당기순이익이 늘어나는 순간이다. 아래 연결 손익계산서를 보면 지분법손익으로 9,343백만 원을 인식하고 있다. 잠시 맨 위의 표를 보자. 기초지분법평가액, 당기 취득/대체, 배당, 지분법이익(손실), (부의) 지분법 자본변동, 손상/처분, 기타, 기말지분법평가액... 등등. 이 중 지분법이익(손실)은 이제 조금은 친숙할 것이라고 본다. 그럼 나머지 항목들은 뭘까? 중간 부분을 조금 잘라서 다시 보자. 재무제표는 전기의 잔액이 넘어오면서 기초금액이 되므로 기초지분법평..

공부 2021.05.25

사업보고서 읽기! 지분법

[사업보고서 읽기! 관계기업투자자산]에서 지분법에 대해 잠시 살펴봤다. 다시 한번 더 얘기하자면, 지분법이란 관계기업의 순자산 변동액 중 투자회사의 지분율만큼 투자회사의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에 반영하는 방법이다. 시세차익을 보려고 갖고 있는 지분이 아니므로 관계기업투자자산을 시세로 평가해서 반영하는 것은 옳지 않다.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지분을 갖고 있는 것이므로 피투자기업의 이익과 손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즉 관계기업의 주가를 많이 올려도 소용없고, 이익을 많이 내야 유리하게 된다. 순자산 변동액을 반영한다고 했는데 갑자기 왜 이익과 손실을 반영하나고? 이익과 손실이 곧 순자산의 변동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익이 늘어난 만큼 기업의 자산은 늘어나고 손실이 발생한 만큼 기업의 자산은 줄어든다. 이익과..

공부 2021.05.25

사업보고서 읽기! 종속기업투자자산

이전 글 [사업보고서 읽기! 관계기업투자자산]에 이어서 계속해보자.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LG화학의 별도재무제표에는 종속기업투자자산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연결재무제표로 가면 이게 사라진다. 실질적 지배력을 갖고 있으면 종속기업으로 분류하고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한다. 투자기업과 피투자기업의 자산과 부채를 모두 합치고, 두 회사 간의 내부거래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서 연결재무제표를 만든다. 이 부분은 다른 글 [사업보고서 읽기! 연결재무제표, 별도재무제표, 개별재무제표]를 참고 바란다. 아빠와 아들 이야기로 가보자. 아빠와 아들이 각각 사업을 하고 있다. 아빠는 아들에게 5백만원을 투자했다. 아빠는 장부에 아들에게 투자한 돈 5백만 원을 투자자산으로 기록한다. 아들은 현금유입 5백만 원을 장부에 적는다. 아..

공부 2021.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