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현금흐름분석 1장 기본개념

김파파 2024. 10. 1. 19:08

일반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자금의 개념에는 다음의 세 가지 개념이 있다.

1. 현금및현금성자산

현금흐름표는 현금및현금성자산을 현금으로 간주하여 작성된다.

1) 현금

통화, 통화대용증권, 요구불예금

2) 현금성자산

① 큰 거래비용 없이

② 이자율 변동에 따른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하고

③ 취득당시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것

※ K-IFRS 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현금및현금성자산에서 당좌차월을 차감한다.

2. 순운전자본

순운전자본 = 유동자산 - 유동부채

이므로 영업활동에 추가적으로 사용하거나 단기차입금의 상환에 이용할 수 있는

자금의 성격을 갖고 있어 영업활동과 매우 밀접한 자금 개념이지만

재고자산은 유동성이 낮을 수도 있고, 선수금은 미래에 현금지급이 발생하지 않으며

매출채권이나 재고자산에 과다 투자하는 경우엔 유동성에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여

실질적인 지급능력 평가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3. 총재무적 자원

모든 자산과 부채 및 자본의 변동을 자금의 변동으로 간주하는 개념으로

신용분석이나 현금흐름 분석에 잘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빈기업회계기준에서는 사채를 발행하여 비유동자산을 구입하는 것처럼

현금이나 순운전자본이 변하지 않는 경우라도 총재무적 자원 개념에서

자금의 변동이 발생하였다고 보는 경우 중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거래는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사항으로서 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일정기간 동안 발생된 모든 거래는 '현금거래'와 '비현금거래'로 나눌 수 있다.

비현금거래는 '비현금손익거래'와 '비현금교환거래'로 나눌 수 있다.

손인계산서에는 현금거래와 비현금거래가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그 결과가 재무상태표에 누적되어 있는 반면

현금흐름표에는 현금거래만이 기록된다.

1. 현금거래

현금의 유입이나 유출을 동반하는 거래를 말한다.

현금을 증가시키는 거래는 자산을 처분하거나 부채 및 자본을 증가시키며

현금을 감소시키는 거래는 자산을 취득하거나 부채 및 자본을 감소시킨다.

2. 비현금손익거래

비용이나 수익이 발생하였으나 현금의 변동이 없는 거래이다.

참고로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은 자본(기타포괄손익)을 변동시키기 때문에

현금흐름표의 당기순이익 조성대상이 아니므로 비현금교환거래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매도가능증권평가손상차손영업외비용 항목이기 때문에 조정대상이다.

※ 비현금손익거래의 예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무형자산의 상각,

퇴직급여의 계상(퇴직급여충당부채 전입)(DC제외),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 지분법손익, 외화환산손익 등

3. 비현금교환거래

현금의 변동도 없고 손익계정의 변동도 없는 거래이다.

비현금교환거래는 현금흐름표에 기재되지 않으므로 현금흐름분석의 대상이 아니다.

그렇지만 중요한 비현금교환거래는 총재무적 자원의 입장에서

자금의 변동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재무제표에 주석으로 표시된다.

참고로 미처분이익잉여금으로 임의적립금 등을 적립하는 것은

매년 일상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주석공시할 만큼 중요한 사건으로 보지 않는다.

※ 비현금교환거래의 예

현물출자로인한 유형자산의 취득, 무상증자, 무상감자, 주식배당액,

전환사채의 전환, 건설중인 자산의 유형자산계정 대체,

장기차입부채의 유동성대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