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P(break-even-point)는 매출액과 비용이 일치하여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매출 수준이다.
매출액, 비용, 이익의 관계에 대한 분석으로 CVP(cost-volume-profit) 분석이라고도 한다.
손익분기점 분석은 비용을 변동비와 고정비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기본전제로 하며
손익분기점에서의 이익은 영업이익을 말한다.
매출액이 BEP 를 초과하면 이익이 발생하고, 미달하면 손실이 발생한다.
결국 BEP 란 영업이익이 0 이 되는 매출 수준을 의미한다.
1. 공헌이익
매출액에서 변동비를 차감한 금액을 공헌이익이라고 한다.
(고정비를 회수하고도 남으면 이익에 공헌하므로 공헌이익이라 부른다.)
공헌이익과 고정비가 동일한 수준이 BEP 이다.
손익계산서
|
비용분해
|
분석
|
|
매출액
|
|
매출액
|
|
- 매출원가
|
변동비
고정비
|
- 변동비
|
변동비율 = 변동비 / 매출액
|
매출총이익
|
|
공헌이익
|
공헌이익률 = 공헌이익 / 매출액
|
- 판관비
|
변동비
고정비
|
- 고정비
|
|
영업이익
|
|
영업이익
|
BEP 매출액 = 고정비 / 공헌이익률
= 고정비 / (1 - 변동비율)
|
※ 목표매출액 = (고정비 + 목표이익) / 공헌이익률
현실적으로 BEP 매출액을 산정할 때 이자비용을 고정비에 포함시키는 것이
금융비용의 비중이 높은 경우에는 실무적으로 의미를 갖는다.
2. 손익분기점률
손익분기점률 = BEP 매출액 / 현재 매출액
현재 매출액과 손익분기점을 비교하는 비율. 낮아질수록 안정적임.
3. MS 비율
손익분기점률과 기본 개념은 비슷하다.
MS 비율(margin of safety, 안전율)은 현재 매출액과 BEP 매출액의 갭을 나타내므로
클수록 안정적이다.
MS 비율 = (현재 매출액 - BEP 매출액) / 현재 매출액
= 1 - 손익분기점률
4. 다품종 제품의 BEP
BEP = 고정비 / 가중평균공헌이익률
가중평균공헌이익률은
제품별공헌이익률을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만큼 구성비율을 곱해서 모두 합해준다.
![](https://blog.kakaocdn.net/dn/bNUYtS/btsJG5X8Jhw/jfCFo36i0gtiKSQhf1c75k/img.png)
제품별BEP매출액 = 기업전체BEP X 제품별매출구성비율
5. 현금분기점 (CBEP, cash BEP)
현금지출액을 모두 회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매출수준을 의미한다.
BEP매출액 = 고정비 / 공헌이익률
위 공식을 변형해서 이용한다.
분자의 고정비에서 실제 현금이 지출되지 않는 비용을 제외하고 계산한다.
대표적인 비용으로는 감가상각비가 있다.
6. 비례율법
비용항목 중에는 명백히 고정비 또는 변동비로 구별될 수 있는 것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혼합원가도 있다. 혼합비용을 어떻게 고정비와 변동비로 분류할까?
연속된 2개 연도의 매출액과 영업비용을 비교하여 구분하는 비례율법이 있다.
비례율법은 증가분을 이용해 변동비율을 아래와 같이 구한다.
변동비율 = 영업비용증가분 / 매출액증가분
간단하지만 생산시설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7. BEP 분석의 한계점
1)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구분하는 비용분해가 쉽지 않다.
2) 판매가격, 변동비 등이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3) 제품의 종류가 많으면 정확성이 떨어진다.
즉, 장기분석에는 적합하지 않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흐름분석 2장 현금흐름표 (2) | 2024.10.02 |
---|---|
현금흐름분석 1장 기본개념 (4) | 2024.10.01 |
재무분석 7장 레버리지 (0) | 2024.09.29 |
재무분석 6장 종합적인 분석 (0) | 2024.09.28 |
재무분석 5장 시장가치 분석 (6)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