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활동이란 부채(차입금) 및 자본계정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를 말한다.
자산의 경우 순액법은 (기초 - 기말)로 계산하지만
부채 및 자본의 경우 순액법은 (기말 - 기초)로 계산한다.
1. 차입금의 변동
|
단기 차입금
|
|
|
|
기말
|
기초
|
|
신규차입(증가)
|
현금 IN
|
||
현금 OUT
|
상환(감소)
|
장기 차입금
|
|
유동성장기부채
|
||
기말
|
기초
|
상환(OUT)
|
기초
|
|
차입(IN)
|
기말
|
대체
|
||
대체
|
|
|
||
두 값이 일치하면 더이상 놓치는 항목이 없다고 볼 수 있음.
|
|
|
||
※ 대체, 1년 안에 상환기일이 도래하면 계정과목을 변경함.
장기차입금 XXX / 유동성장기부채 XXX
|
① 계정과목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부채, 사채(사채할인발행차금), 전환사채, 장기차입금 등
② 차입금 상환시 외환차손이 발생하면 영업현금흐름에 동 금액을 가산하고
외화표시채무의 환산(평가)이익은 영업현금흐름에서 차감한다.
③ 사채 중도상환시 장부금액과 상환금액의 차이로 인한 사채상환이익은
영업현금흐름에 동 금액을 차감한다.
④ 사채를 할인발행한 경우 액면가액에서 사채할인발행차금과 사채발행비를
차감한 금액이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으로 기록된다.
⑤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영업활동현금흐름 당기순이익에 가산한다.
⑥ 전환사채의 보통주 전환은 비현금거래이다.
2. 자본계정의 변동
① 계정과목(3개) : 유상 증.감자, 배당금지급(현금지급), 자사주 취득.처분
② 현물출자(주석공시)나 전환(주석공시)은 비현금 거래이다.
③ 유상증자는 현금유입이지만 무상증자(주석공시)는 비현금 거래이다.
④ 자기주식 취득시 취득원가로 기재하고 동 자기주식을 처분한 경우
처분이익은 기타 자본잉여금에 계상한다. 현금 유입이지만 당기순이익과 관련이 없다.
⑤ 지분법평가는 비현금 거래이다.
지분법적용대상 피투자회사의 순자산증가 원인이 당기순이익을 제외한
이익잉여금인 경우 투자회사도 이익잉여금의 증가로 기록한다.
이 거래는 비현금거래지만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주석으로 기재하지 않는다.
⑥ 미처분이익잉여금을 처분하는 거래는 자본변동표에 있으므로 비현금거래지만
B/S 주석사항으로 기재할 필요는 없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흐름분석 4장 현금흐름표 분석 (5) | 2024.10.12 |
---|---|
현금흐름분석 3장 현금흐름표 작성 (3) | 2024.10.11 |
현금흐름분석 3장 투자활동 현금흐름 (7) | 2024.10.09 |
현금흐름분석 2장 영업활동 현금흐름(기타사항) (0) | 2024.10.08 |
현금흐름분석 2장 영업활동 현금흐름(간접법) (2)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