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활동이란 현금의 대여와 회수활동,
1) 단기투자자산(단기예금, 단기매매증권, 유동성매도가능증권, 유동성만기보유증권)
2) 투자자산
3) 유형자산
4) 무형자산
의 취득과 처분 활동을 말한다.
영업활동과 달리 투자활동은 직접법과 간접법의 구분이 없으며 직접법으로 표시된다.
|
XX 자산
|
|
|
|
기초
|
기말
|
|
현금 OUT
|
취득
|
||
처분
|
현금 IN
|
||
※ 순액법 : 기초잔액 - 기말잔액
※ 처분가격이 장부가와 다른 경우에는 처분이익.손실을 반영해야 함.
|
1) 단기투자자산 등의 변동
① 계정과목 : 단기예금, 단기매매증권, 단기대여금(대손충당금), 미수금 등
② 취득은 현금유출에 기입한다.
③ 처분은 현금유입에 기입한다.
④ 처분가격이 장부가와 같고 재평가대상이 아닌 경우
(기초 - 기말)의 금액이 연중 증가.감소 금액의 차이와 같다.
⑤ 처분가격이 장부가와 다르고 재평가대상인("시장성 있는") 경우
장부가와 처분가액의 차이가 처분손실이라면 투자활동에서 발생한 손실로서
동 금액이 당기순이익 계산시 차감되었으므로,
동 처분손실을 가산해 주어야 영업활동 순현금이익이 산출된다.
단기투자자산 평가결과가 평가이익이었다면 현금의 유입이 없는 수익으로서
당기순이익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계산시
당기순이익에서 차감해 주어야 영업활동 순현금이익이 산출된다.
⑥ 단기대여금에 대한 대손충당금 증가(전입)액은 기타의 대손상각비로서
현금 유출이 없는 영업외비용으로 당기순이익에서 차감되어 있다.
동 금액은 영업활동 현금흐름 계산시 당기순이익에 가산해준다.
2) 투자자산 등의 변동
① 계정과목
장기예금, 장기투자증권(매도가능증권, 만기보유증권), 지분법적용투자주식,
장기대여금(대손충당금), 기타비유동자산(임차보증금 등) 등
② 취득은 현금유출로, 처분은 현금유입으로 기록한다.
③ 평가이익이 있는 경우 당기순이익에서 제거한다.
다만,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은 자본항목(기타포괄손익누계)이라
당기순이익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당기순이익에서 제거하지 않는다.
④ 처분손실이 있는 경우 당기순이익에 이미 손실로 반영되어 있으므로
동 처분손실을 가산하여 순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산출한다.
3) 유형자산의 변동
① 계정과목 : 토지, 건물, 기계장치, 공기구, 건설중인자산, (감가상각누계액)
② 유형자산 취득은 현금유출로, 처분은 현금유입으로 기재한다.
처분은 취득원가로 이루어지고 해당자산의 감가상각누계액도 함께 제거한다.
취득원가와 감가상각누계액의 차이가 유형자산의 장부가이다.
실제 처분금액과 장부가의 차이는 처분이익(손실)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에 가감한다.
③ 감가상각누계액의 당기반영분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에 가감한다.
④ 현물출자 혹은 대체는 현금거래가 아니므로 반영하지 않는다.
⑤ 멸실과 같은 재해손실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에 가산한다.
⑥ 장기연불구입은 현금의 유출이 수반되지 않으므로 B/S 주석에 표시한다.
4) 무형자산의 변동
무형자산은 유입이 거의 없다는 특징이 있다.
취득과정에서 유출이 있을 수는 있지만 팔기가 쉽지 않다.
단, 상각은 된다. 감소액 대부분의 원인이 상각이다.
① 계정과목 : 영업권, 산업재산권, 개발비 등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흐름분석 3장 현금흐름표 작성 (3) | 2024.10.11 |
---|---|
현금흐름분석 3장 재무활동 현금흐름 (2) | 2024.10.10 |
현금흐름분석 2장 영업활동 현금흐름(기타사항) (0) | 2024.10.08 |
현금흐름분석 2장 영업활동 현금흐름(간접법) (2) | 2024.10.07 |
현금흐름분석 2장 영업활동 현금흐름(직접법) (4) | 2024.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