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연결재무제표 4장 지배력 취득 이후

김파파 2024. 9. 12. 20:45

지배력 취득시점에 연결재무제표는 연결재무상태표를 의미한다.

지배력 취득 이후에 연결재무제표는 연결재무상태표 뿐만 아니라 연결손익계산서도 포함된다.

종속기업 순자산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가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으나, 실무에서는 대부분 양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한다.

1. 지배력 취득 이후의 연결

지배력을 취득한 이후에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경우에도 지배력 취득시점과

마찬가지로 투자주식과 종속기업의 자본을 상계제거하는 연결조정은 필요하다.

이때 유의할 점은 상계제거할 투자주식과 종속기업의 자본은

당해연도 말 현재의 금액이 아니라 당해연도의 기초시점의 금액이라는 점이다.

(단, 지배력 취득연도에는 지배력 취득일)

지분법은 지배기업이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전에

개별재무제표에서 지분법 손익을 인식함으로써

지배기업의 개별당기순손익을 연결당기순손익과 동일하게 보고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지분법 손익에는 내부거래를 통해 발생한

미실현손익(또는 실현손익)도 반영되어 있다.

만약 당해연도 말의 투자주식과 종속기업의 자본을 상계제거한다면

내부거래 미실현손익의 조정이나 영업권상각등이 당기 연결손익계산서에

표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투자주식과 종속기업의 자본을 당해연도 기초시점

(단, 지배력 취득연도에는 지배력의 취득일)의 금액을 기준으로 상계제거해야

당해연도에 발생한 다양한 내부거래 손익 및 영업권상각 등을

연결조정과정에서 반영할 수 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연결조정분개를 하면 다음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① 당기 지분법손익을 제거하여 투자주식의 기말 장부금액을 기초 금액으로 환원

지분법이익을 감소시키고 그 만큼 투자주식도 감소시키면

투자주식의 장부금액은 기초로 환원된다.

지분법이익 xxx / 투자주식 xxx

② 기초시점의 금액을 기준으로 투자주식과 종속기업 자본의 상계제거

기초시점(지배력 취득시점)을 기준으로 투자주식과 종속기업의 자본을

상계제거하며 이 과정에서 투자주식 취득원가에 포함되어 있던

영업권이 인식된다.

자본금 xxx / 투자주식 xxx

이익잉여금 xxx

영업권 xxx

③ 당기분 영업권상각의 인식

당기분 영업권 상각액을 연결손익계산서의 당기비용으로 인식한다.

영업권상각 xxx / 영업권 xxx

2. 비지배지분이 있는 경우

비지배지분이 있는 경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에도

투자주식의 기말금액을 기초로 환원한 후 기초금액을 기준으로

투자주식과 종속기업의 자본을 상계제거한다.

종속기업 자본 중 비지배지분에 해당되는 금액을

비지배지분 과목으로 분리하는 연결조정분개가 필요하다.

비지배지분이 있는 경우 연결조정분개는 다음과 같다.

① 투자주식의 기말 장부금액을 기초금액으로 환원

지분법 이익을 감소시키고 그 만큼 투자주식도 감소시켜

투자주식의 장부금액을 기초로 환원한다.

지분법이익 xxx / 투자주식 xxx

② 기초시점의 금액을 기준으로 투자주식과 종속기업 자본의 상계제거

기초시점(지배력 취득시점)을 기준으로

투자주식과 (종속기업의 자본 X 지분율)을

상계제거하면서 영업권을 인식하고 상계제거되지 않은 자본을

비지배지분으로 대체한다.

자본금 xxx / 투자주식 xxx

이익잉여금 xxx 비지배지분 xxx

영업권 xxx

③ 당기분 영업권상각의 인식

영업권을 내용연수만큼 상각하여 당기비용으로 인식한다.

영업권상각 xxx / 영업권 xxx

④ 종속기업 당기순이익 중 비지배지분 대체

종속기업 당기순이익 중 비지배지분의 비율만큼을 비지배지분으로 귀속시킨다.

이 때 상대계정은 이익잉여금의 감소인데, 이렇게 연결조정분개를 하면

연결이익잉여금에는 종속기업 당기순이익 중 지분율만큼이 자동으로 귀속된다.

이익잉여금 xxx / 비지배지분 xxx

3. 회계연도 중 종속기업 취득시 연결손익의 결정

 
지배력 취득 이전
지배력 취득 이후
지배기업
1
2
종속기업
3
4

1, 3은 각각 기초부터 종속기업 취득 직전일까지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에서 발생한 손익이며

2, 4는 각각 종속기업 취득일로부터 당해연도 보고기간 말까지

발생한 손익이다.

3은 당해연도 연결손익계산서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당해연도 연결손익계산서에 포함될 손익은 1+2+4 이므로

종속기업은 취득 직전일을 기준일로 하여 결산을 해야 한다.

계산 문제

갑 : 지배회사, 을 : 종속회사, 지분율 70%.

1. 갑과 을의 당기순이익을 조정하기

1) 갑의 개별당기순이익에서 영업권상각액과 미실현이익을 차감하여

갑의조정후당기순이익을 구한다.

2) 을의 개별당기순이익에서 미실현이익을 차감하여

을의조정후당기순이익을 구한다.

2. 을의조정후당기순이익에 지분율을 곱하여 지배지분과 비지배지분으로 나누기

3. 지배귀속당기순이익 = 갑의조정후당기순이익

+ (을의조정후당기순이익 X 70%)

4. 비지배귀속당기순이익 = (을의조정후당기순이익 X 30%)

5. 지분법이익 = (을의조정후당기순이익 X 70%) - 영업권상각액 - 미실현이익

6. 연결당기순이익 = 갑의조정후당기순이익 + 을의조정후당기순이익

개별당기순이익
개별당기순이익
- 영업권상각액
 
- 미실현이익(하향)
- 미실현이익(상향)
조정후당기순이익
조정후당기순이익
70%
30%

개념 정리

- 지배력 취득 이후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의 투자에 대해 조정한다.

- 배당금은 연결실체의 내부거래로 취소한다.

- 연결조정분개 시 종속기업의 순자산에 대한 제거분개를 한다.

- 투자차액을 영업권이나 염가매수차익으로 인식한다.

- 취득일 이전 발생한 평가차액에 대해서 상각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