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는 30년 전 짜장면 값에서 시작된다.
30년 전 약 500 원하던 짜장면이 현재 약 5,000원으로 30년 동안 10배(1,000%) 상승했다. 매년 약 25%의 상승이다.
물가상승률이 2~3%라고 하더라도 5,000 원짜리는 5,150 원으로 오르지 않고 5,500 원으로 오른다.
기간을 고려해야겠지만 10%가 오르는 것이다.
금리는 낮아지고, 물가는 오르고 있다.
저금리 시대에 물가 상승으로 인한 화폐가치 하락을 고려한다면 저축은 100% 손해가 나는 상품이다.
저축은 결코 안전하지 않다.
재테크 = 수익률(금리) X 투자금액 X 기간
재테크를 잘하려면 수익률이 높은 상품에 투자하거나 수익률이 낮더라도 투자금액을 크게 하거나 둘 다 안된다면 기간을 길게 해야 한다.
결론은 장기 투자다.
그럼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투자에 있어 위험은 시장위험과 종목 위험으로 나뉜다.
시장위험은 적립식 장기투자로 줄일 수 있고 종목 위험은 분산투자로 줄일 수 있다.
직접투자가 어렵다면 간접투자인 펀드에 투자하자.
좋은 펀드 체크리스트
- 시장의 흐름에 따른 자산(주식, 채권, 실물, 부동산 등)의 선택
- 운용규모 1700억 이상의 대형 혹은 700억 이상의 중형
- 5년 이상(최소 3년)의 운용기간
- 낮은 변동성 지수(표준편차, 트레킹 에러, 베타)
- 높은 성과지표(샤프지수, 젠센 알파)
- 동일 유형 및 벤치마크 대비 높은 수익률
복잡한가?
그럼 펀드평가사의 보고서를 활용해보자.
다만 각 회사의 평가 기준이 다르다는 것은 주의하자.
- 제로인
- 모닝스타코리아
- 한국 펀드평가
- 에프앤가이드
- 펀드슈퍼마켓
펀드슈퍼마켓에서는 각 평가사들의 평가를 비교해볼 수 있다.
장기투자 시에는 변액유니버설보험을 권한다.
변액보험도 펀드 선택과 관리가 핵심이다.
변액유니버설보험은 적립식의 경우 약 15%의 사업비(거치식은 약 5%)와 약 0.5% 정도의 위험보험료를 제하고 펀드에 투입된다.
하지만 비용보다는 수익이 더 중요하다.
10년이 경과하면 비과세 혜택이 있으며 엄브렐러형 펀드 보험으로 펀드변경이 자유롭다.
변액유니버설보험 펀드 실적 확인하기
생명보험협회 - 공시실 - 변액보험
간접투자도 투자원칙과 전략이 필요하다.
- 대형 가치주, 배당주 펀드에 장기 투자하자.
- 투자기간의 70%에 다다르면 수익을 점검하여 환매 타이밍을 잡자.
- 환매 후 안전한 채권형 펀드나 예금에 투자하자.
- 여유자금 투자라도 성과가 좋지 않으면 손절매하자.(크리스토퍼 시의 환위법)
- 목표수익률은 7~12%로 잡자.
- 매 분기 자산운용보고서를 통해 수익률을 점검하자.
- 자산운용보고서를 통해 수익률, 펀드 설정액의 변화를 체크하자.
- 펀드매니저가 변경되면 더욱 주의 깊게 수익률을 점검하자.
간접투자도 손절매가 필요하다.
여유자금 투자라도 성과가 좋지 않으면 손절매하자.
크리스토퍼 시의 환위법을 떠올리자.
지금 손실 난 펀드를 이미 매도했다면, 다시 매수하겠는가?
'아니오'라고 답한다면 손절매하는 것이 옳다.
손절매 결정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주식시장이 좋음에도 내 펀드가 손실 날 때
- 동일 유형과 비교했는데 형편없을 때
- 크리스토퍼 시의 환위법을 적용했는데, 아니오라고 했을 때
하지만 시장 전체가 좋지 않다면 손실을 피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한 문제는 자산배분으로 해결한다.
'어떤 종목의 주식(or 어떤 주식형 펀드)을 언제 사고파느냐'보다 '어떤 자산에 투자하느냐'라는 자산배분 전략이 투자수익률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다.
'100-나이 법칙'에 따른 전략적 자산배분
100에서 나이를 뺀 비율만큼 공격적인 자산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안정적인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
자산가치의 변화로 인한 투자비중 재배분은 1년 단위로 하고 5년 단위로 나이에 따른 투자비중을 재배분한다.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에 투자하는 방법이 일반 금융소비자들에게 가장 적합하다.
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전술적 자산배분
기업경기실사지수 BSI를 활용한 전술적 자산배분
BSI는 경기선행지수 중의 하나이다.
국가통계포털의 경기순환 시계가 하강에서 회복으로 이동하면 강세장이 시작된다는 신호이니 주식형 펀드에 투자하고
상승에서 둔화로 이동하면 약세장이 시작된다는 신호이니 채권형 펀드에 투자한다.
경기순환 시계는 2개월 늦게 발표되고 BSI의 신호와 실제 주가 방향은 거의 절반은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약 60%의 보합장에서는 일치성을 보이지 않더라도 약 40%의 강약세 기간 중에는 대부분 일치하기 때문에
장기투자 시 활용할만한 투자법이다.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를 이용한 전술적 자산배분
골든크로스는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뚫고 올라가는 형태로 강세장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데드크로스는 반대로 단기선이 장기선을 아래로 뚫고 내려가는 형태로 약세장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골든크로스가 나타나면 주식형 펀드에 투자하고 데드크로스가 나타나면 채권형 펀드에 투자하자.
5일선이 20일선을 돌파하는 단기 크로스보다 20일선이 60일선을 돌파하는 중기 크로스의 신뢰도가 더 높다고 한다.
단기선이 장기선을 돌파하더라도 진행 방향이 같지 않으면 거짓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을 실행하기에는 ETF가 효과적이다.
밴드 설정을 이용한 전술적 자산배분
전월 대비 수익률차를 캡(cap)과 플로어(floor) 밴드로 설정해놓고 그에 따라 단순하게 펀드를 변경해가는 방법이다.
밴드를 [-1% / 2%]로 설정했다면 전월 종가 대비 1% 이상 하락하면 약세장의 신호로 보고 채권형 펀드에
2% 이상 상승하면 강세장의 신호로 보고 주식형 펀드에 투자한다.
다만 효과적인 밴드를 찾아야 하고 일반 펀드보다는 변액유니버설보험이나 ETF 가 효과적이다.
완벽한 투자이론은 없다.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으로 투자의 효과가 약해질 수는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저자의 투자제안-
1. 여유자금 투자
보수적 투자자 : 투자성향에 따른 전략적 자산배분
공격적 투자자 : ETF를 활용한 전술적 자산배분
2. 적립식 목적자금 만들기
- 1년 이내 : CMA
- 1~3년 : 적금, 국공채 펀드
- 3~7년 : 우량 회사채(보수), 배당주펀드(공격)
- 7~10년 : 배당주펀드, 가치주펀드
- 10년~ : 변액유니버설(상품 내 배당주 및 가치주, 전략/전술적 자산배분 실행)
- 은퇴자금 : 변액연금(보수. 스텝업 보증), 변액유니버설(공격)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돈내산) 가민 포러너 55 구입 (0) | 2022.04.10 |
---|---|
어느 주식투자자의 회상(에드윈 르페브르, 2010) (0) | 2022.04.08 |
나는 오피스텔보다 공모주가 좋다(이병화,2014) (0) | 2022.04.06 |
이기는 주식투자 경제기사부터 읽어라(이승호, 2010) (0) | 2022.04.05 |
주식 매매하는 법(제시 리버모어, 2018) (0) | 202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