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 시점과 배경
먼저 ChatGPT의 경우, OpenAI가 2024년 7월 9일부터 홍콩·중국·마카오 지역에서의 접속을 공식적으로 차단한다고 공지했습니다. 일부 사용자들은 6월 말부터 접속이 원활하지 않았다고 보고했으나, 이는 사전 차단 조치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Google Gemini는 일반 소비자용 서비스가 홍콩에서 정식으로 제공된 적이 없습니다. 다만 기업용(Google Workspace) 사용자에게 한정적으로 지원되던 Gemini도 접근이 어려워졌다는 사례가 최근 전해지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
ChatGPT와 Gemini가 홍콩에서 사용이 제한된 이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1. 규제 및 법적 리스크
홍콩은 중국의 국가보안법이 적용되는 지역으로, 표현의 자유나 인터넷 검열과 관련된 우려가 큽니다. AI 챗봇이 민감한 정치·사회적 질문에 답변할 경우, 기업에 법적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상업적·기술적 판단
AI 서비스는 서버 운영과 현지 언어·문화에 맞춘 튜닝이 필수적인데, 홍콩 시장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고 중국 본토와의 관계도 복잡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3. 글로벌 기술·정책 환경
최근 미·중 기술 경쟁 심화로 인해, 글로벌 IT 기업들이 홍콩을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고 서비스 범위를 제한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VPN 우회 접속의 한계
일부 사용자는 VPN으로 접속을 시도하지만,
• 서비스 약관 위반으로 계정 정지 위험이 있으며
• 속도나 안정성 저하
• 중국 본토 방문 시 VPN 사용에 따른 법적 문제
등의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VPN은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결론
정리하면, ChatGPT는 2024년 7월 9일부터 홍콩 내 공식 차단이 시행되고 있으며, Google Gemini는 원래부터 일반 사용자 대상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규제 리스크, 상업적 판단, 글로벌 기술 정책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홍콩 내 서비스 이용이 어렵게 된 상황입니다. 향후 정책이나 시장 환경이 변화하지 않는 한, 당분간 홍콩에서 공식적인 사용은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결제 방식, UPI를 소개합니다 (0) | 2025.07.13 |
---|---|
해외에서도 위치추적이 가능할까? 도와줘 앱 실제 사용기 (2) | 2025.07.06 |
✈️ 뭄바이로 가는 길 : 파견의 첫발, 낯선 시작 (0) | 2025.07.05 |
GPT를 활용한 스마트한 글쓰기 과제 수행 방법 (0) | 2025.06.17 |
헷갈리는 시차 표현, ‘빠르다’ vs ‘늦다’ 제대로 구분하기 (인도-한국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0) | 202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