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는 1도 모르지만 궁금한 게 너무나도 많은 사람들을 위한 생활밀착형 흥미진진 회계 이야기. 어렵고 복잡해서 포기했던 회계 공부,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용기를 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Hhmai/btrp8p1E3Q4/FiIXFj4gtAVe8GY1ydnVgk/img.png)
책 표지에 쓰여있는 문구처럼 정말 쉽게 회계를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처음 회계를 공부하려고 하는 사람이나 회계를 어렴풋이 접해본 사람에게 적극 추천하는 책이다. 아래 주제를 읽어보고 어떤 내용인지 정확하게 떠오르지 않는다면 꼭 한번 읽어보기를 권한다.
총 280여 페이지로 전체 30 꼭지로 되어 있다. 일단 시작하기에 부담 없는 분량이다. 꼭지도 잘게 나누어져 있어서 하루에 한 꼭지만 읽어도 한 달이면 충분하므로 가벼운 마음으로 회계 공부를 시작해보자.
목차
1부 손익계산서
1장 매출의 탄생
2장 원가의 발견
3장 그 외 수익과 비용
2부 재무상태표
4장 자산
5장 부채와 자본
3부 현금흐름과 재무지표
6장 CFO처럼 생각하자
1장 매출의 탄생
수익과 이익은 다르다
- 매출총이익: 사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직관적인 척도
- 영업이익: 회사의 본질적인 이익
- 당기순이익: 이익의 최종 정착지
발생주의 VS 현금주의
- 회계의 기본은 발생주의
발생주의 VS 실현주의
- 수익인식은 실현주의로 조금은 까칠하게
비용인식기준
- 수익비용대응의 원칙+보수주의, 감가상각비, 대손상각비 등
건설형 공사계약과 진행 매출
2장 원가의 발견
원가의 정의
![](https://blog.kakaocdn.net/dn/bc8Exp/btrp8rynJL3/acRAUDJ0bBN0gsHz3mrLuk/img.png)
- 총원가=제조원가+판매원가
- 제조원가=재고자산(미판매)+매출원가(판매)
- 원가의 구성요소=재료비+노무비+제조경비=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https://blog.kakaocdn.net/dn/H8tmy/btrqbGhvRFl/PeZG7ev7Jj2x2o3J2GX5dk/img.jpg)
제조간접비의 배부기준
제품원가 계산방법
- FIFO vs LIFO
정상원가계산 VS 표준원가계산
사업계획 시 활용되는 공헌이익과 손익분기점(BEP)
- CVP분석(Cost 원가, Volume 조업도(생산량), Profit 이익)
- 공헌이익=매출(원가)-고정비
3장 그 외 수익과 비용
제조원가와 판관비의 분류 기준
![](https://blog.kakaocdn.net/dn/btDG8Y/btrp6wglyID/hGN1F4KEuKgzfc3xsrLpG1/img.jpg)
감가상각비의 계산방법
손상차손의 개념
- 수익에 기여하지 못하는 자산은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 인정받지 못하는 자산의 가치 감소분은 손상차손(영업외비용)이라는 비용으로 인식한다. 감가상각비는 수익에 기여할 때만 인정받는 비용이다.
영업외손익의 종류
외화환산손익 VS 외환차손익
- 외화환산손익: 환율 변동에 따라 변동된 손익, 아직 실현되지 않음.
- 외환차손익: 대금을 지급받았을 때 거래 발생 시와의 환율 차이로 실현된 손익.
- 화폐성 자산. 부채는 기말 평가를 해서 외화환산손익으로 처리하며 비화폐성 자산.부채는 발생 후에 평가를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화선수금을 받았다면 향후 제품이나 용역을 제공(비화폐성)하면 되고 돈을 지급(화폐성)할 의무는 없다.
4장 자산
재무상태표의 의미
: 자산=부채+자본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
재고자산의 의미와 적정재고자산 관리
- 재고자산은 제품 판매라는 거래를 통해 수익이 예상될 때만 자산으로서 가치가 인정된다. 제품이 판매될 때 재고자산은 매출원가라는 비용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팔리지 않고 가치가 하락하는 경우(진부화) 손실을 기록하도록 한다.
- 재고자산의 효율성 측정지표: 재고자산 회전율 및 회전기간
![](https://blog.kakaocdn.net/dn/cDM6Be/btrp6x7nA1C/oCK7jwhm8lb78G2Evc1IA1/img.jpg)
현금 전환 주기
= 재고자산 회전기간 + 매출채권 회전기간 - 매입채무 회전기간
= (재고자산/매출원가 + 매출채권/매출 - 매입채무/매출원가) x 365일
자본적 지출 VS 수익적 지출
무형자산과 연구개발비
법인세 비용 및 미지급법인세 VS 이연법인세
5장 부채와 자본
부채의 종류
![](https://blog.kakaocdn.net/dn/cJNRdz/btrp5zklpVz/Zh6QHO0nxrSmDdRLYEOk61/img.jpg)
선수금과 선수수익
- 부채는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좋은 부채도 존재한다.
충당부채
- 미래에 돈이 유출될 것이 확실하지만 언제 얼마나 나갈지 모르는 항목을 추정해 충당부채로 기록한다. 그에 반해 충당금은 자산평가에 사용되는 계정과목이다.
자본의 구조
- 이익잉여금과 현금이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6장 CFO처럼 생각하자
현금은 사실, 이익은 의견
- 실제 현금과 장부상 현금은 꼭 맞아야 한다.
흑자도산의 의미
현금흐름표의 구조
- 기업의 발전단계별 현금흐름(영업, 투자, 재무활동)
재무비율의 활용
- 보유해야 할 최소 현금을 알아보는 법: 현금전환주기
다양한 재무비율
- 수익성: 매출총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 ROE, ROA
- 성장성: 매출액증가율, 총자산증가율
- 안정성: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 이자보상비율
- 활동성 비율: 총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자기자본회전율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에 투자해보자: ETF 투자의 신(강흥보) (0) | 2022.01.15 |
---|---|
별난 사회 선생님의 수상한 미래 수업(권재원, 2019) (0) | 2022.01.14 |
블로그 포스트 바이럴 마케팅(이기용, 2017) (1) | 2022.01.12 |
구글에서 월급받기, 구글 애드센스 마케팅(박영훈, 윤중훈 2019) (2) | 2022.01.11 |
무역 공부는 난생 처음입니다만(김용수, 2019)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