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손쉬운 로블록스 게임코딩(2021, 잰더 브룸보)

김파파 2021. 11. 20. 07:37
1장 로블록스 개발 소개

 

이 책의 대상 독자는 다음과 같다.

 - 로블록스 플랫폼에서 게임을 개발하고자 하는 사람

 - 이미 로블록스에 익숙하지만 보다 효율적으로 로블록스를 개발하고 싶은 사람

 

로블록스는 게임 개발을 통해 수익창출이 가능하게 해 준다. 개발자로서 DevEx(Developer Exchange)라는 과정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실물화폐로 로벅스라는 가상화폐를 구입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게임 안에서 로벅스를 사용할 경우 수수료 30%를 공제하고 70%를 개발자가 받을 수 있다.

 

게임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미래를 함께할 헌신적인 개발자들을 모으고 개발 계획을 잘 수립해야 한다. 개발자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프로그래머 : 루아 언어를 이용해 게임의 모든 기능을 만든다.

 - 3D 모델러 : 블렌더와 같은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아이템을 만든다.

 - 빌더 : 3D 모델링을 수행하기는 하지만 그보다는 전체 맵과 월드 디자인에 집중한다.

 - UI/UX 디자이너 : 인벤토리나 체력바와 같은 게임 내의 상호작용 화면과 스크린을 만든다.

 

이 외에도 애니메이터, 음악 제작자, 그래픽 디자이너 등이 있을 수 있다.

 

2장 개발환경 이해

 

게임을 생성(creat)하면 설정버튼(기어 아이콘)을 통해 환경설정을 해야 한다.

 

 - Private vs Public : Public으로 설정하면 모든 로블록스 유저가 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

 - Access : 플레이어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게임 접근권한 판매, 비공개 서버 판매 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많은 설정 기능이 있다. 게다가 로벅스를 좀 써야겠지만 내가 만든 게임을 홍보할 수 있도록 광고를 할 수도 있다.

 

라이브러리에서는 다른 개발자들이 만들어 놓은 다양한 스크립트, 오디오, 모델, 이미지, 메시, 플러그인 등을 무료로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는 로블록스 스튜디오에서는 툴박스로 표시된다. 무료 모델은 적당히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악의적인 스크립트가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하자.

 

아래 개발자 사이트(여기를 클릭)에 접속하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장 로블록스 루아 소개

 

2장에서 로블록스 스튜디오의 메뉴에 대해 설명하고, 3장에서는 루아 언어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사람을 기준으로 루아의 데이터 타입, 조건문, 반복문, 함수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4장 로블록스 프로그래밍 시나리오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지식과 함께 로블록스에만 적용되는 내용도 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아본다.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용도가 다른 별개의 시스템이기 때문에 각기 고유한 스크립트를 사용해야 한다.

 - 로블록스 서비스 : 일종의 라이브러리라고 보면 된다. playerService, StarterGui, StarterPlayer, PhysicsService 등이 있다.

 - 물리작업 : 물리를 다루는 작업을 위해 속성, 제약, 신체 이동 등을 다루게 된다.

 - 게임 요소 추가 : 사운드, 광원 등의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5장 오비생성

 

장애물 코스 게임과 같은 유형의 게임을 오비라고 한다. 이번 장에서는 장애물 코스 게임을 만들어 배포까지 해보자.

 

6장 배틀 로열 게임 제작

 

배틀 로얄 게임을 만들어보자.

 

7장 게임 제작 유통

 

최대한 즐겁게 할 수 있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인기 있는 게임의 구조를 알아보자.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방식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게임 유저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마케팅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