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금은 어디까지 왔나?

Gimpapa 2025. 5. 5. 10:09

 

2022년 2월 시작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은 2025년 5월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영토 분쟁을 넘어 세계 정치와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킨 이 전쟁의 배경과 전개 과정, 그리고 현재 양국의 상황을 정리해 봅니다.
(출처: BBC, NYT, The Guardian, Al Jazeera, DW 등 2025년 4~5월 보도 종합)

 

 


 

전쟁의 배경 – 왜 전쟁이 시작됐는가?

러시아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를 전면 침공하며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명분을 내세웠습니다.

  • 나토(NATO) 확장에 대한 반발: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추진이 러시아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출처: BBC, 2022.02.24)
  • 우크라이나의 ‘비무장화’ 요구: 서방 무기 도입과 나토 협력으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위협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출처: Al Jazeera, 2022.02.25)
  • 러시아계 주민 보호 주장: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의 러시아계 주민들이 ‘박해받고 있다’는 이유로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출처: The Guardian, 2022.03)
  • 우크라이나의 정체성 부정: 푸틴은 우크라이나가 역사적으로 러시아의 일부라고 주장하며 침공을 정당화했습니다.
    (출처: DW, 2022.02.21 푸틴 연설 분석)

국제사회는 이 같은 주장을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하고, 러시아에 광범위한 제재를 가했습니다.


전개 과정 – 전쟁은 어떻게 흘러왔는가?

  • 2022년: 러시아는 수도 키이우를 비롯한 주요 도시를 빠르게 점령하려 했으나, 우크라이나군의 강력한 저항과 민간의 자발적 방어로 계획은 실패했습니다.
    (출처: NYT, 2022.04)
  • 2023년: 우크라이나는 미국과 유럽의 무기 지원을 바탕으로 반격을 시도해 일부 점령지를 탈환했지만, 러시아의 방어선은 견고했습니다. 전선은 교착 상태에 접어듭니다.
    (출처: CNN, 2023.11)
  • 2024~2025년:
    • 러시아는 동북부 수미 지역과 하르키우 주변을 재점령하며 공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출처: ISW 보고서, 2025.04)
    • 우크라이나는 미국 및 유럽의 군사 원조 지연으로 인해 방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출처: Politico, 2025.04)

러시아의 현재 – 제재에도 불구하고 전쟁 경제 활성화

  • 군사력 강화: 러시아는 북한 등과의 무기 협력을 통해 무기 공급망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방위적인 징병과 군수 산업 확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출처: Reuters, 2025.03)
  • 경제 회복세: 서방 제재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경제는 군수·건설업 중심으로 성장 중이며,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Bloomberg, 2025.04)
  • 국내 여론: 초기엔 전쟁 지지가 높았지만, 장기화로 인한 인적 손실과 지역 불만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출처: Le Monde, 2025.03)

우크라이나의 현재 – 지원 부족과 전쟁 피로감

  • 전쟁 지속 어려움: 우크라이나는 무기와 병력 모두 부족하며, 미국·EU의 군사 원조가 정치적 변수에 따라 지연되고 있습니다.
    (출처: Financial Times, 2025.04)
  • 경제·사회 타격: GDP는 전쟁 전 대비 30% 이상 하락했고, 인구는 약 1,200만 명 감소했습니다. 출산율 저하와 고령화로 인해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출처: UNHCR, IMF 보고서, 2025.04)
  • 국정 신뢰 하락: 젤렌스키 정부는 전쟁 초기 국민적 지지를 받았으나, 장기화된 충돌과 부패 문제로 인한 피로감이 누적되고 있습니다.
    (출처: The Economist, 2025.03)

국제사회의 대응과 향후 전망

  • 미국과 유럽의 지원: 미국은 대선과 정치 갈등 속에서도 일정 규모의 무기 지원을 이어가고 있으나, ‘지원 피로감(fatigue)’이 커지고 있습니다.
    (출처: Politico, 2025.04)
  • 협상 가능성: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포기와 동부 점령지 인정 등을 조건으로 협상을 제안했지만, 우크라이나는 이를 수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출처: DW, 2025.03)
  • 장기화 시나리오: 전선의 교착 상태가 계속되면서, 국제사회가 중재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출처: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25.04)

전쟁은 단기적으로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으며, 양국 국민들의 고통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더 적극적인 외교적 개입과 인도적 지원을 통해 이 비극을 멈출 방법을 모색해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