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P

ADsP 321 분석 마스터플랜 수립

Gimpapa 2021. 3. 11. 09:14

 

1. 분석 마스터플랜 수립 프레임워크

 

    중장기적인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중요도, 비즈니스 성과 / ROI, 실행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그리고 분석의 적용범위 및 방법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행하기 위한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중장기 마스터 플랜인 ISP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가 있다.

ISP 는 정보화 전략과 비전을 정의하고 IT 사업과제를 도출한 후 로드맵을 수립하는 활동이다. 분석 마스터 플랜은 ISP 방법론을 활용할 수 있다.

 

2. 수행과제 도출 및 우선순위 평가

 

    우선순위 평가는 정의된 데이터 과제에 대한 실행 순서를 정하는 것이다. 도출된 분석과제를 우선순위에 따라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조정한 후 최종 확정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우선 순위는 전략적 중요도(필요성, 시급성), 실행 용이성(투자 용이성, 기술 용이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ROI 관점에서 우선순위를 평가할 수도 있다. 빅데이터의 3 요소인 volume, variety, velocity 는 투자 비용 측면의 요소이다. 대용량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모두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여기에 분석 결과 활용을 통한 가치 value 를 수익의 개념으로 하나 더 추가하자. 이제 투자비용 investment 대비 수익 return 을 평가하는 ROI 관점에서 비교를 할 수 있게 된다.

 

3. 우선순위 평가 기준

 

    1) 시급성

    전략적 중요도에 따라 시급성을 판단한다. 전략적 가치를 현재에 둘 것인지 중장기적인 미래에 둘 것인지에 따라 시급성 여부를 판단한다. ROI 의 return 측면이라고 볼 수 있다. value 관점에서 결과 return 가 빨리 나와야 하면 시급성이 높고, 그렇지 않다면 시급성이 낮다.

 

    2) 난이도

    비용과 범위 측면에서 적용하기 쉬운 것인지 어려운 것인지를 판단한다. 비용은 volume, variety, velocity 측면에서 볼 수 있으므로 난이도는 ROI 의 investment 측면이라고 볼 수 있다.

 

    3)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하는 영역은?

    시급성을 현재와 미래로 나누고 난이도를 쉬움과 어려움으로 나누면 총 4 가지 경우의 수가 나온다. 이 중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하는 영역은 시급성이 현재이며, 난이도가 쉬운 영역이다.

 

4. 분석 과제 우선순위 선정 매트릭스

 

    오른쪽으로 갈수록 시급성이 미래이고 위로 갈수록 난이도가 올라가는 매트릭스이다. 현재 해야 하면서도 쉬운 영역이 3번이다. 현재 시점에서 전략적 가치를 두고 있음에도 쉽기 때문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시급성도 미래면서 어렵기까지 한 영역은 2 번이다. 현재는 전략적으로 중요하지 않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해야 하고, 난이도가 높기에 바로 적용하기엔 어려움이 따른다.

 

    1 번 영역은 현재 전략적으로 중요하지만 난이도가 높아 바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영역이다. 4 번 영역은 난이도는 낮아서 바로 적용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 영역이다.

 

    분석 과제의 우선순위 기준을 시급성에 둔다면 오른쪽으로 이동한 뒤 위로 올라가는 3 - 4 - 2 순으로 의사결정을 하면 된다. 우선순위 기준을 난이도에 둔다면 위로 올라간 뒤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3 - 1 - 2 순으로 진행한다. 

 

5. 이행 계획 수립

 

    1) 로드맵 수립

    우선순위 기준에 따라 결정된 과제는 단계별 추진 내용을 정렬하여 로드맵을 수립한다.

 

    2) 세부 이행 계획 수립

    데이터 분석 체계는 순차적인 개발 방식인 폭포수 waterfall 방식이 있다. 하지만 개발에는 속도가 중요하다. 애자일 agile 방식과 혼합하여 반복적인 개선을 통해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AD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P R프로그램 소개 및 설치  (0) 2021.03.12
ADsP 322 분석 거버넌스 체계  (0) 2021.03.11
ADsP 314 분석 프로젝트 관리방안  (0) 2021.03.10
ADsP 313 분석 과제 발굴  (0) 2021.03.10
ADsP 312 분석 방법론  (0) 2021.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