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P

ADsP 311 데이터 분석 기획의 이해

Gimpapa 2021. 3. 9. 06:19

 

 

분석 기획이란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과제를 정의하고 의도했던 결과를 낼 수 있도록 관리 방안을 계획하는 작업을 말한다. 분석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IT 기술,  수학 및 통계학, 비즈니스 영역에 대한 고른 역량과 균형잡힌 시각이 필요하다.

 

1. 분석 주제 유형 4가지

 

분석은 분석의 대상 what 과 방법 how 에 따라 4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무엇을 분석할지, 어떻게 분석할지 안다면, 개선을 통한 최적화의 형태로 분석을 수행한다.(최적화)

부엇을 분석할지는 알지만 어떻게 분석할지 모른다면, 해당 주제에 대한 솔루션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진행한다.(솔루션)

분석의 대상이 명확하지 않다면 기존의 분석 방법을 이용해서 새로운 통찰을 도출하려는 시도를 한다.(통찰)

분석의 대상이 명확하지 않은데 분석 방법도 모르겠다면 발견 접근법으로 분석 대상 자체를 찾아낸다.(발견)

 

다시 말해 무엇을 어떻게 분석할지 안다면 기존의 문제를 최적화 optimization 하고, 방법을 모르면 솔루션 solution 을 찾는다. 무엇을 찾는지 모른다면 이미 알고 있는 방법을 써서 새로운 통찰 insight 을 구하고, 아무것도 모른다면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듯이 발견 discovery 해내야 한다.

 

2. 목표 시점별 분석 기획 접근 방안

 

과제를 빠르게 해결하고자 한다면 과제 중심적으로 접근한다. 당면한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제 단위로 접근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1차 목표는 speed & test 이다. quick-win 방식이며 problem solving 방식으로 접근한다.

시간을 갖고 지속적인 분석 문화를 내재화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마스터플랜 방식으로 접근한다. 마스터 플랜 단위로 접근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1차 목표는 accuracy & deploy 이다. long term view 방식이며 problem definition 방식으로 접근한다.

즉, 단기적으로는 분석 과제를 도출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분석 마스터플랜을 수행한다.

 

3. 분석 기획시 고려사항

 

분석 기획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

 

    1) 사용 가능한 데이터 확보가 필수적이다. 데이터 유형에 따라 적용 가능한 솔루션 및 분석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 유형에 대한 분석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 적절한 유스 케이스(Proper Use-Case. 사례분석) 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비슷한 분석 시나리오 및 솔루션이 있다면 이를 최대한 활용하여 시간과 노력을 아낄 수 있다.

 

    3) 장애 요소들에 대한 사전 계획을 세워야 한다. 비용을 사전에 고려해야 하며, 계속적인 교육, 활용 방안 등을 고려해야 한다.

 

'AD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P 313 분석 과제 발굴  (0) 2021.03.10
ADsP 312 분석 방법론  (0) 2021.03.09
ADsP 131 데이터 사이언스와 전략 인사이트  (0) 2021.03.08
ADsP 122 빅데이터의 가치와 활용  (0) 2021.03.08
ADsP 121 빅데이터의 이해  (0) 2021.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