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B 구축의 화두
1) 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를 말하며 네트워크 상의 여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DB 의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조회하는 등의 처리방식을 말한다. 다수의 이용자가 거의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결과를 즉석에서 되돌려 보내주기 때문에, 신용카드 조회나 자동화기기 현금 지급 등 금융관련 전산에 많이 쓰인다. 트랜잭션 단위로 하나씩 처리한다. 일괄처리 시스템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참고로 일괄처리 batch 시스템이란 일괄로 처리할 수 있는 요청에 대해 유사한 자료를 모아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하나의 작업이 끝나기 전까지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 급여계산, 성적처리 등에 이용된다.
2)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온라인 분석처리를 말한다. 데이터로부터 통계적인 요약 정보(단순 거래정보는 OLTP)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분석이 중심이 된다.
3)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직역하면 고객 관계 관리다. 돈이 될만한 고객을 선별하고 장기적인 고객관계 관리를 통해 보다 높은 이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4) 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를 뜻한다. 기업의 구매, 생산, 유통 등 모든 공급망 과정을 최적화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기업 부문별 DB 활용
1) 제조부문 : ERP, DW, BI 등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 통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말한다.
DW Data Warehouse : 정보 검색을 목적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전사적 단위)이다.
BI Business Intelligence : DW 에 접근해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 및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예, SQL)
2) 금융부문 : EAI, EDW, Block Chain
EAI Enterprise Architecture Integration : 기업 어플리케이션을 통합한 것으로 ERP, CRM, SCM 등을 중앙 집중적으로 통합하는 솔루션이다.
EDW Enterprise Data Warehouse : DW 를 전사적으로 확장한 모델이다. 다양한 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원천이 된다.
Block Chain 데이터 분산처리 기술 :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의 모든 거래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기술이다.
3) 유통부문 : KMS, RFID
K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 관리 시스템 :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RFID Radio Frequency 무선 주파수 : 리더(reader)를 이용한 정보인식 방식 중의 하나다.
3. 사회기반구조로서의 데이터베이스
인터넷의 보편화로 데이터베이스는 사회 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 문서 교환 : 표준화된 서식을 서로 합의된 기준 따라 전자 문서를 만들어 컴퓨터 및 통신을 매개로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CALS Commerce At Lighted Speed 광속 상거래 : 전자상거래 구축을 위해 각종 기술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통합 운영하는 업무 환경을 말한다.
1) 물류부문
종합물류정보망(실시간 차량추적) : 운행중인 차량의 위치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부가가치통신망 VAN Value Added Network : 정보를 축적, 가공, 변환 처리하여 부가가치가 생긴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통신서비스를 말한다.
2) 지리부문
국가지리정보시스템 NGIS
지리 정보시스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3) 교통부문 : 지능형교통시스템 ITS
4) 의료부문 : 의료 EDI
5) 교육부문 :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
'AD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P 122 빅데이터의 가치와 활용 (0) | 2021.03.08 |
---|---|
ADsP 121 빅데이터의 이해 (0) | 2021.03.07 |
ADsP 112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0) | 2021.03.06 |
ADsP 111 데이터와 정보 (0) | 2021.03.06 |
ADsP 시험 내용 및 접수 그리고 수험서 (0) | 2021.03.05 |